의학용어 APN, 급성 신우신염 정의, 증상, 간호사가 알아야 할 포인트

급성 신우신염은 주로 세균 감염으로 인해 신장의 신우(신장에서 소변이 배출되는 통로)와 주변 조직이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입니다. 이 질환은 특히 여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급성 신우신염에 대한 정의, 주요 증상 및 간호사가 알아야 할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하겠습니다.

급성 신우신염의 정의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은 신장의 신우에 생긴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요로 감염(UTI)에서 시작됩니다. 세균이 신장에 올라가면서 염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대장균, 클레브시엘라 등이 있으며, 이들은 요도와 방광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급성 신우신염의 발생 원인

– 요로 폐쇄: 결석, 종양, 선천적 기형 등이 있을 경우
– 여성의 생리적 요인: 여성호르몬의 변화나 임신
– 면역 저하: 당뇨병, HIV와 같은 면역계 관련 질환

급성 신우신염의 주요 증상

급성 신우신염의 증상은 감염의 심각성에 따라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 설명
고열 일반적으로 38도 이상 발열이 동반됨
오한 체온 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오한
측복통 신장 압통을 동반할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해질 수 있음
배뇨 이상 잔여감, 빈뇨, 통증을 동반한 배뇨
구역, 구토 소화 불량 또는 메스꺼움이 동반될 수 있음

간호사가 알아야 할 포인트

간호사가 급성 신우신염 환자를 관리할 때는 다음의 포인트들을 유념해야 합니다:

1. 관찰과 평가: 환자의 증상과 병력을 주의 깊게 평가해야 하며, 고열과 측복통을 확인해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합니다.

2. 약물 관리: 진단 후,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며, 약물의 복용 compliance를 확인해야 합니다.

급성 신우신염 증상
3. 수분 섭취: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하여 소변량을 늘리고, 감염 원인균을 배출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4. 환자의 교육: 예방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감염 증상이 발생했을 때 즉시 병원에 방문하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급성 신우신염은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쉽게 회복할 수 있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간호가 필수적입니다. 간호사가 이러한 정보를 숙지하고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회복 과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